입춘
입춘이란 태양력을 기준으로 한 24절기 중 첫 번째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든다. 대개 양력 2월 4일 또는 5일이 이 날에 해당하며, 입춘이 되면서 비로서 봄이 시작되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철이 들었다”거나 “철을 안다”라는 표현을 쓰곤 하는데, 그것은 이 24절기의 각 철에 맞춰 모든 사리판단을 할 줄 안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입춘에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집의 양 기둥이나 문설주에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일이다. 새봄을 맞이한다는 의미에서 입춘첩은 이제 막 철든 아이의 글씨로 쓰여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입춘대길 만사형통’ 등의 글귀를 대구로 기둥 내지 문의 양변에 써 붙이며, 또는 “조선 정조 때 부모의 은혜가 중하다는 은중경(恩重經)의 진언을 인쇄해 나누어주었고 문에 붙여 액을 막게 하였던 바, 여기에서 유래한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아아나 사바하’란 부모은중경 중 진언을 써 붙임으로서 재앙의 소멸 내지 만복의 도래를 기원하기도 한다.
입춘에는 대문이나 현관에 봄을 맞는 글귀를 써서 붙인다. 널리 쓰여지는 입춘문(立春文)으로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국태민안(國泰民安), 가급인족(家給人足),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만복래(開文萬福來), 부모천년수(父母千年壽), 자손만세영(子孫萬世榮)” 등이다.
위와 같이 입춘날 축원하는 풍속이 사찰의 행사로 굳어져 입춘기도를 하는 사찰이 많다.
불가(佛家)에서는 전통적으로 입춘 날을 맞아 한 해 동안의 가내 평온과 만사형통을 기원하는 기도를 올리고 법회를 봉행하여 왔다. 이는 입춘이 한해를 시작한다는 민속적인 의미를 가진 절기이기 때문이다.
각 사찰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민속의 날을 계승 발전시킨다는 의미에서 매년 입춘날을 맞아 가내평온과 운수대통을 기원하는 기도와 법회를 봉행하고 있다.
또한, 증심사에서는 입춘을 계기로 한 해의 액땜을 막기 위해, 삼재부를 나누어 주고 있다.
삼재란
삼재란 사람의 운이 각 3년씩 12년을 주기로 바뀌어 인생에 아주 좋은 운과 아주 나쁜 운이 12년을 주기로 한 번씩 오게 되는 것을 말하며, 각 개인이 이 시기에 접어드는 것을 흔히들 삼재(三災)라 한다.
삼재의 종류를 보면, ① 도병재(刀兵災):연장이나 무기로 입는 재난, ②역려재(疫쟨災):전염병에 걸리는 재난, ③기근재(飢饉災):굶주리는 재난이 있다.
또 대삼재(大三災)라 하여 ①불의 재난(火災), ②바람의 재난(風災), ③물의 재난(水災)을 말하기도 한다.
9년 주기로 들어온 이 삼재는 3년 동안 머무르게 되는데, 그 첫 해가 들삼재, 둘째 해가 묵삼재(또는 눌삼재), 셋째 해가 날삼재가 되어 그 재난의 정도가 점점 희박해진다고 한다.
그래서 첫번째 해인 들삼재를 매우 겁내고 조심하는 풍습이 있다. 그 대책을 살펴보면 첫째가 매사를 조심하는 방법이요, 두 번째는 부적(符籍)이나 양법(良法)을 행하여 예방하는 방법을 썼다.
그리고 끝으로 자신의 나이와 삼재가 드는 해를 보면 다음과 같다.
- 해묘미생(亥卯未 = 돼지,토끼,양띠생)
사오미년(巳午未년, 뱀.말.양)에 삼재이고, 뱀의 해부터 3년간 삼재. - 인오술생(寅午戌 = 호랑이,말,개띠생)
신유술년(申酉戌년, 원숭이,닭,개)에 삼재이고,
원숭이 해부터 3년간 삼재. - 사유축생(巳酉丑 = 뱀,닭,소띠생)
해자축년(亥子丑년, 돼지,쥐,소)에 삼재이고, 돼지 해부터 3년간 삼재. - 신자진쟁(申子辰 = 원숭이,쥐,용띠생)
인묘진년(寅卯辰년, 호랑이,토끼, 용)에 삼재이고,
호랑이 해부터 3년간 삼재.
● 참고문헌 : 한국의 불교의례-상용의례를 중심으로 정각 著 운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