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심사 얼마나 알고 있니?

증심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철조 비로자나불이 뭐에요?

A. 철조(鐵造)의 한문을 풀이하면 쇠 철(鐵) 지을 조(造)입니다. 다시 말해 철로 만들었다는 뜻입니다. 비로자나불좌상(毘盧遮那佛坐像)은 불교의 진리인 ‘법法’을 인격화 하여 형상화한 비로자나불상이 앉아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불상을 왜 철로 만든 거에요?

A. 신라하대(9세기)부터 고려시대까지 특히 서남해안 지역에서 불상의 재료로 유행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재료 특성상 철불을 만들 때는 목조나 소조 불상처럼 한 번에 만들지 않고 각각 분할하여 주조하는 방법(piece mold)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외형 틀을 나누었다가 이은 분할선이 거의 드러나지 않게 감춰져 있어 분할주조법으로 주조된 다른 철불상들에 비해 섬세한 기법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말여초기 이 지역 조각 장인의 뛰어난 솜씨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시에 철은 중요한 재료이기 때문에 권력 있는 사람들이 불상 시주에 참여하였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철불은 총 22기가 있습니다.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이외에도 장흥 보림사, 남원 실상사, 청양 양곡사 등에도 철로 만든 불상이 남아 있습니다.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 좌상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A.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현재 증심사 비로전에 봉안되어 있습니다.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였던 1930년대초에 전남도청 뒤편에 있던 대황사지(大皇寺址)에서 지금의 증심사로 옮겨 온 것입니다.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양손으로 지권인(智拳印)의 수인(手印)을 결하고 있습니다. 지권인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 특유의 수인手印으로서 일반적으로 왼손 검지의 첫마디를 오른손으로 감싸 쥐는 수인인데, 이 불상에서는 좌우가 바뀐 모습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이처럼 지권인을 결하면서도 좌우 손의 위치가 바뀐 예는 불국사 비로전 금동비로자나불좌상을 비롯해 신라하대의 몇몇 불상에서도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월간 증심 3월호에 나온 내용입니다.

Related Articl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