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법문

불안은 어디에서 오는가? 1

행복한 요리경연대회

얼마 전에 자비신행회가 주관하는 가족요리 경연대회에 우연히 참석했습니다. 가족요리 경연대회에는 유치원생부터 초등학교 저학년인 아이들과 30대 젊은 부모들이 참가했습니다. 요리를 심사하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즉석 법문을 하게 되었는데 그때 참가자들에게 두 가지 이야기를 했습니다.

첫 번째, 결과가 중요한 일이 있고 과정이 중요한 일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 시험의 경우는 어쨌거나 결과가 중요합니다. 맹탕 놀았어도 대학에 붙으면 그만이고, 아무리 열심히 공부했어도 시험에 떨어지면 꽝입니다. 오늘 요리대회는 참여하는 데에 의미가 있습니다. 아이와 부모가 요리를 함께 만드는 과정이 중요하지, 누가 무슨 상을 받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두 번째, 여러분들이 같이 요리하는 모습을 옆에서 보니 정말 화목하고 행복이 넘쳐 보입니다. 출가수행자들은 자비심을 끌어내기 위해서 열심히 수행을 해야 하지만, 여러분들은 가족 안에 이미 사랑이 넘치고 있습니다. 다만 그 사랑을 잘 지키기만 하면 그것이 바로 자비심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들의 사랑을 잘 지키길 바랍니다.

이런 내용의 법문을 했습니다.

젊은 가족들이 요리하는 모습이 3자인 제가 보기에 참 행복해 보였습니다. 사람은 뭔가를 함께 하면 행복한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번에 증심사 신도님들과 함께 다녀온 제주도 2박3일 ‘길따라절따라’ 견학 역시 참으로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무언가를 할 때 행복하다

인간은 사랑하는 사람과 무엇인가를 할 때 행복하다는 것을 가족요리 경연대회와 ‘길따라절따라’를 통해서 느꼈습니다. 가족요리 경연대회 이후에 절에서 어떤 부부와 상담을 했습니다. 50대 중반 정도 되어 보이는 부부이고, 바깥 분은 사업을 하는 분이었습니다. 자식들은 수능을 준비하느라 바빠서 얼굴 보기 힘들고, 남편 사업은 잘될 때도 있고 안 될 때도 있어 항상 불안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보살님 얼굴에 수심이 가득했습니다. 한시도 걱정이 떠날 날이 없는 표정이었습니다. 그때 문득 요리를 하던 그 젊은 가족들이 떠올랐습니다. 20년이 지나면 요리하며 행복해하던 젊은 부부들도 이런 50대 부부 같은 모습이 되어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20년 사이에 도대체 무슨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일까요? 왜 행복했던 부부가 수심에 가득 찬 부부가 되는 것일까요? 20년이라는 길고도 긴 세월 동안 식구들이 같이 지내면서 뭔가가 쌓인 것입니다. “내 가족이다, 우리 가족이다” 하는 생각이 쌓였습니다. 우리 가족이 함께 요리하고 웃고 이야기하고 있는 이 행복했던 기억들과 추억들이 소중할수록 그 소중함과 행복함을 계속 간직하고 지키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입니다.

행복에 대한 애착은 소유욕이 된다

말하자면 우리 가족의 행복에 대한 애착이 생긴 것입니다. 애착이 굳어지면 소유욕이 됩니다. ‘저 애는 내 자식이야. 저 남자는 내 남편이야. 절대로 남들은 우리 가족을 해치면 안 돼. 누구도 우리 가족의 행복을 깨뜨릴 수 없어. 왜? 우리 가족이니까. 우리 것이니까.’ 이런 소유 심리가 생기게 됩니다. 소유 심리가 생기면 100% 불안해집니다. 불안한 마음이란 결국은 소유욕에서 나온다는 것을 조금만 생각하면 알 수 있습니다. 젊은 가족이 20년이라는 세월을 보내는 동안 생기는 것은 결국 ‘우리 가족’이라는 소유욕입니다.

불안한 마음은 소유하고자 하는 심리에서 생깁니다. 소유하고자 하는 마음은 애착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생깁니다. 애착하고자 하는 마음은 이 행복을 지키고 싶은 마음에서 생깁니다. 그러나 여러분, 불안한 마음은 인간의 인지상정입니다. 보살님들이 불안하다고 해서 내가 비정상인가 하는 생각을 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인간은 원래 불안한 존재입니다. 여기에서 생각해 봅시다. 소유하는 것이 많으면 불안한 마음이 커진다고 스님이 말하는데, 진짜로 그럴까요?

다들 기억하실 것입니다. 1997년 IMF 외환위기때 나라 꼴이 말이 아니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11월에 IMF가 터졌는데, 저는 그로부터 몇 달 전인 여름에 회사를 관뒀습니다. 당시 통장에는 150만 원 정도밖에 없었습니다. 내 집도 없었습니다. 애인도 없고 가족들과도 떨어져서 혼자 서울에 있었습니다. 가만 보면 가진 것 하나도 없이 완전히 몸뚱이 하나만 달랑 가지고 IMF를 맞이한 것입니다. 온 세상이 난리가 났는데 나는 의외로 아무렇지도 않았습니다. 어차피 가진 것이 없으니까 IMF가 터지나 안 터지나 달라질 것이 없었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멀쩡하던 회사들이 픽픽 쓰러지는 어수선한 세상을 TV로 경험하며, ‘가진 게 없으면 불안한 마음도 없구나, 뭔가 지켜야 할 것이 있으니까 불안한 마음이 생기는구나.’라는 생각을 그때 했습니다.

소유욕은 불행의 씨앗

저의 이 경험을 반대로 말하면 우리 보살님들이 매사에 마음이 불안한 것은 뭔가 지키고 싶은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표현은 ‘우리 가족’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내 것’이라는 소유욕입니다.

여러분들은 이제 나이가 들어서 시어머니 대열에 들어갔지만 며느리 시절을 상기해 보십시오. 시골에서 시어머니가 올라오면 우리 집 살림살이를 가만히 안 둡니다. 꼭 자기 식대로 청소하고 냉장고도 한번 확 뒤집어 놓습니다. 며느리 입장에서 보고 있으면 속에서 열불이 터져 나오지만 말을 못 합니다.

며느리는 왜 열불이 터집니까? 내 것이거든요. 이 부엌은 내 스타일대로 세팅이 되어있는 내 것입니다. 그런데 시어머니라는 사람이 와서는 “얘야 부엌 꼴이 이게 뭐니?” 하고 내 허락도 없이 마구 손을 대니 열불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 가족이라고 말하고 우리 집이라고 말하지만 사실은 내 것이기 때문에 시어머니의 행동에 반발심이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라고 말하지만, 그 이면에는 ‘나’가 버티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래도 느낌이 잘 오지 않는다면 영어식으로 생각하면 쉽게 수긍이 갈 것입니다. 한글로는 “우리 집”이라고 합니다만, 영어로는 “our home” 보다 “my home”이 자연적입니다. “우리 엄마”라는 말을 보면 더 분명해집니다. “our mother” 보다 “my mother”가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왜 그럴까요? 우리가 쓰는 “우리의”라는 말의 대부분은 사실은 “나의”라는 말을 돌려서 표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라는 말을 자주 쓰는 이유는 개인보다는 관계를 중시하고, 개인보다 집단을 더 중시하는 우리 사회의 정서가 말 속에 깊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Related Articl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heck Also
Close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