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신행생활특집

하안거 특집 – 십우도

세상이 끓고 있다.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더위가 날마다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무엇보다 탐진치 삼독의 불꽃이 몸과 마음까지 태우고 있어 펄펄 끊는 화탕지옥이 따로 없다.
그래서 부처님은 ‘삼계화택(三界火宅)’ 비유를 통해 불타는 집에서 나오라 했다.
어떻게 빠져나올 것인가?
갑진년 하안거에 들어간 수행자들이 가마솥 무더위에도 가부좌를 틀고 앉은 사연이다.

불타는 집에서 나와야 하는 이들이 어찌 산중의 수행자뿐이랴. 사바세계에 살고 있는 중생 모두의 일이다.
화탕지옥을 벗어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걱정만 하고 있을 일 또한 아니다.
먼저 답을 찾은 옛 스님들이 그 길을 쉽고도 간단하게 알려주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마음 찾는 것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십우도(심우도)이다. 글을 모르는 이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까지 곁들였으니 얼마나 고마운 일이겠는가.
‘나’라는 본성을 찾아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소에 비유했다 하여 심우도(尋牛圖), 또는 목우도(牧牛圖)라 한다. 혹자는 견성에 이르는 과정을 열 단계로 간명하게 묘사했다 하여 십우도(十牛圖)라 한다.
경전에서도 야성의 소를 계(戒)로 다스려 오욕에 들지 않도록 하는 공부를 소와 목동에 비유해 설명하고 있다<유교경>.
소 치는 사람이 항하를 건너는 것을 수행자가 생사의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기도 했다<증일아함경>.

십우도는 중국 송나라 때 곽암 선사의 소 찾는 그림이 대표적이다. 사찰 전각의 벽화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승보종찰 송광사 승보전 벽면에도 곽암 선사의 십우도가 큼직하게 자리해 있다.

십우도, 열 개의 장면은 이와같다.

⑤ ‘목우(牧牛)’이다. 거친 소를 자연스럽게 놓아두더라도 저절로 가야 할 길을 갈 수 있게끔 길들이는 장면이다. 삼독(三毒)의 때를 지우는 단계로 선에서는 이 목우의 과정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데, 이 상황의 소는 길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차츰 검은색이 흰색으로 바뀌어 가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십우도 첫 번째 장면인 ‘심우’는 발보리심(發菩提心)을 뜻한다. 두 번째 장인 ‘견적’에서 여섯 번째 ‘기우귀가’까지는 수행, 일곱 번째 ‘망우존인’과 여덟 번째 ‘인우구망’은 보리심의 성취, 아홉 번째 ‘반본환원’은 열반의 경지 진입, 마지막 열 번째 ‘입전수수’는 득의(得意) 후에 중생을 제도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가운데 주목해 보아야 할 장면은 다섯 번째 목우이다. 검정색의 야생 소가 목동에 의해 길들여지면서 점점 밝은 흰색으로 변해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감동적인 것은 열 번째 마지막 장면인 입전수수이다. 궁극적으로 깨치고자 하는 것은 중생제도를 하기 위함이다.

증심사 주지 중현스님은 불교 강의에 앞서 이렇게 강조하곤 한다.

“공부해서 남 주자”

Related Articl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heck Also
Close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