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불교학당

인도사상과 불교 1

2021년 9월 16일 강의

어떤 인도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몇 가지 단어만 바꾸면 인도철학과 불교철학과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 정도로 인도사상과 불교사상이 비슷하다는 것인데, 과연 전통적인 인도사상과 불교사상은 무엇이 다를까? 오늘부터 2강에 걸쳐 불교가 등장하기 이전에 인도를 사회문화를 지배했던 사상을 알아봄으로써 불교가 어떠한 맥락에서 탄생했으며 불교사상이 가지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지금과는 사뭇 다른 모습의 2,500년 전 순수한 초기불교에서부터 시작해 불교가 전개되어 온 역사를 짚어보겠다. 불교는 아비달마-초기 대승불교-중관-유식-여래장사상으로 이어져왔다. 이러한 발전과정과 중국과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어 온 특징적인 모습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불교사상사로 하여금 지금 우리 불교의 모습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함이다.

인도는 나라의 크기가 엄청나게 크다. 다양한 민족이 각자 다른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살고 있는데 희한하게도 인도만의 정체성과 나름대로의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 인도는 서쪽에서 들어온 아리안족이 인더스강에 와서 문명을 생성하면서 시작됐다. 아리안족에게 있어서 가장 상징적인 표식은 수레바퀴이다. 인도의 국기에도 수레바퀴가 등장한다. 불교에서는 전륜성왕을 의미하기도 한다. 아리안족의 위대한 발명품이 바로 살이 있는 수레바퀴이며, 이로 하여금 전차가 등장하여 숱한 전쟁에서 승리를 이끌어냈다. 아리안족 문화에서 수레바퀴는 풍요와 행복을 상징하는 하나의 사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인도인들이 생각하는 종교의 핵심은 무엇이며 과연 불교와는 어 떻게 연결되는가? 흔히 힌두교라고 말하는 인도사상은 기원 전 1500 년에서 500년 사이의 종교철학적 경전인 <베다>로부터 시작됐다. 베 다라고 하는 선신(善神)을 칭송하는 일종의 찬가 혹은 게송이다. 인도 인들은 제사를 지낼 때 <베다>를 읊었으며, 그 제사에서 중요한 것을 만트라(진언)로 외우고는 했다.

불교의 진언도 여기에서 유래했으며 불교 자체적으로 발생한 의식이 아니다. 베다시대는 우파니샤드시대로 연결된다. <우파니샤드>는 <베다> 의 해설집에서 시작해 구절 하나하나에 대한 더욱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으로 이어졌다. 우파니샤드시대에 <베다>의 권위에 부정한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부처님이다. 부처님 당시는 기원 전 500년경, 중국 으로 비유하자면 제자백가 시기와 같았다.

부처님이 어떻게 등장했는지를 알려면 부처님이 왜 <베다>의 권위를 부정했는지를 알아야 하며, 그러자면 도대체 <베다>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윤회의 단초, 카르마(업), 다르마(법), 진리의 단초가 사실은 <베다>에 들어 있다는 사실을 잘 이해해야 한다. <베다>의 기본 개념은 선신과 악신이 싸우는 가운데, 선신이 악신 을 이기게 하기 위해 선신들에게 제사를 지내 공양물을 보급하는 것이다. 신을 포함한 모든 존재가 서로 순환적으로 의지하여 살아가며 이런 순환을 유지하는 것이 제사의식이다.

여기에는 신들조차 따라야 하는 근원적인 힘이 있다. 르따(Rta)이다. 신들에 대한 제사가 르따와 상응하여 신들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바라는 결과가 일어나는 것이다. 제사를 지낼 때 그에 상응하는 행위를 하면 반드시 결과가 나타난다 는 것이 업보이다. 이러한 제사를 관장하는 것이 브라만(바라문·사제)이 며, 브라만은 제사를 정확하게 ‘아는’ 소수의 사람이다. 우주와 사회를 통제하는 제사를 정확하게 알고, 또 할 수 있는 브라만의 권위가 자연 스럽게 강력해진 것이다.

한편 베다시대에는 죽으면 저승으로 가서 5대에 걸쳐 제사를 받고, 5대를 넘으면 그제야 진정한 하늘나라로 가서 완벽한 삶을 산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아들이 없으면 선조들까지 제사를 받지 못해 하늘나라로 가지 못하며, 그런 영혼은 달에 가서 살다가 초승달이 되면 자리가 없어서 비가 되어 이승의 땅으로 내려온다고 믿었다. 이런 생각이 윤회사상의 기반이 된다.

문제는 인도사회가 발전하면서 기원 전 8세기경이 되면 도시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촌락 규모의 사회는 제사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었는데, 상업이 발달하고 도시가 커지다보니 무사 계급이나 상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힘이 커지고 제사의 중요성이 약해진다. 사람들은 의심하기 시작한다. 왜 제사를 지내야 할까? 왜 윤회를 할까? 윤회를 하는 주체는 무엇일까? 근원적인 힘에는 자아가 있는 것인가? ‘나는 누구인가?’

즉 베다시대의 관심은 제사와 자연의 질서, 그리고 제사와 자연의 운행이었다. 이후 우파니샤드시대로 넘어오면서 인간 내면의 세계에 천착하기 시작하고, 아트만이나 브라흐만과 같은 고차원적인 개념이 등장하며 철학적인 탐구가 시작되는 것이다.

Related Articl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Back to top button